이제 본격적인 겨울이 되었습니다. 흩날리는 빗줄기에 조금씩 눈발이 보이던 하루였어요. 알면 알수록 도움 되는 겨울철 건강관리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? 모르면 나만 손해!! ㅠ.ㅜ 미리미리 숙지하셔서 건강한 겨울나시길 바라겠습니다. 자~ 이제 시작해 볼까요?
모르면 나만 손해??
알면 알 수록 도움 되는 겨울철 건강관리법
겨울철 건강관리법 건강 수칙 안내
1. 생활습관
- 가벼운 실내운동이 필요합니다.
- 야외운동은 이른 아침엔 피하는 것이 좋고 한낮에는 준비운동을 충분히 한 후 운동 하세요.
- 적절한 수분섭취가 필요합니다.
- 골고루 영양분이 함유된 식단으로 식사하셔야 합니다.
- 습도조절을 위하여 적절한 환기도 필요합니다.
2. 실내환경
- 실내 적정온동(18~20℃)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.
3. 외출 전
- 체감온도를 확인합니다.(날씨가 추울 경우엔 야외활동 자제를 권합니다)
4. 외출 후
- 따듯한 옷을 입어 보온에 신경써야 합니다. (장갑, 목도리, 모자, 마스크 등을 착용 권함)
이런 분들은 더 더욱 조심하셔야 합니다.
1. 저체온증 위험군
- 음식이나 보온(옷, 난방)이 적절하지 않게 입은 노인분
- 장시간 야외에서 지내는 사람들(노숙인, 등산객, 실외작업자 등)
- 추운 환경에서 지내는 영유아
- 알코올섭취를 과하게 하거나 항우울제 또는 금지된 약물을 복용한 사람
- 어르신이나 영유아는 추위에 민감하므로 수시로 체온을 체크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
2. 동상 위험군
- 장시간 야외에서 있어야 하는 사람 (노숙인, 등산객, 실외작업자 등)
- 극심한 추위에도 적절한 의복을 입지 못한 사람
-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사람
한랭질환 증상 발생 시 조치방법
- 가능하면 빨리 의사의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만 그전에 취해야 할 조치방법은?
- 따듯한 장소로 이동하세요.
- 젖은 옷은 모두 벗어서 마른 옷으로 갈아입고 담요나 그밖의 따듯한 것으로 몸을 녹여줍니다.
- 동상 부위가 있다면 따듯한 물에 담궈 줍니다.
38~42 ℃ 정도의 따듯한 물에 20~40분간 담가주고, 발가락, 손가락은 소독된 마른 거즈를 끼워 습기를 제거하며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합니다.
귀나 얼굴 부위에는 따듯한 물수건으로 감싸줍니다.
응급처치의 한 방법으로 핫팩이나 따듯한 물을 구할 수 없을 때는 사람이 직접 껴안아 따듯한 체온을 나누는 것도 임시방편적인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. 꼭 기억하세요!
건강하고 따듯하게 겨울을 이겨보자구요!
'건강한 삶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타민D 정상수치와 부족증상, 주사효능, 가격 알아봐요 (0) | 2023.12.01 |
---|---|
의사들이 말해주는 술 빨리 깨는 숙취해소법 (0) | 2023.11.30 |
마른비만 탈출 방법에 대한 Tip 알려드립니다 (0) | 2023.11.06 |
손톱 물어뜯기 방지 방법 뭐가 있을까요? (0) | 2023.11.03 |
설마 나도 혈당스파이크? 뜻과 도움되는 음식 알려드려요 (0) | 2023.11.01 |
댓글